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막스 베버는 자본주의에 대해 무엇을 말했나요? - 파주 운정 코딩 교육

 

 

 

 

What Did Max Weber Say About Capitalism?

막스 베버는 자본주의에 대해 무엇을 말했나요?

 

 

 

 

막스 베버(Max Weber)는 자본주의가 칼빈주의의 예정론과 규율된 노동의 성화에 뿌리를 둔 '개신교 윤리(protestant ethic)'의 출현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막스 베버는 칼 마르크스(Karl Marx),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과 함께 사회학의 3대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근대 국가, 관료제(bureaucracy), 합리화(rationalization), 비교 종교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한 베버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에 관한 논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베버는 19세기 후반에 자본주의가 개신교 국가에서 가장 번성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관찰에 착안하여 이러한 패턴의 원인을 밝히고자 했습니다.

 

 

그의 대답은 자본주의의 발전은 프로테스탄트(protestant, 개신교) 개혁과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는 세속적 직업 추구와 경건한 삶을 추구하는 것을 연결하는 검소, 근면, 절약의 뚜렷한 윤리의 도입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 칼빈주의 예정론(Calvinist ideas) : 하나님이 창세 전부터 어떤 사람들은 구원받을 자로, 다른 사람들은 멸망할 자로 미리 선택하셨다는 기독교 교리입니다. 이 교리는 주로 칼빈주의(개혁주의) 신학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며,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인간의 구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사상 입니다.

 

 

 

 

Who Was Max Weber?

막스 베버는 누구였나요?

Max Weber (sitting) with his family, 1888, Source: Wikimedia Commons

 

막시밀리안 칼 에밀 베버(Maximilian Carl Emil Weber)는 1864년 프로이센의 도시 에르푸르트에서 고귀한 유산을 가진 부유한 부르주아 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막스는 변호사이자 정치인이었고 어머니 헬레네는 독실한 기독교 자유주의 개혁가였습니다. 헬레네의 윤리적 종교관은 큰 인상을 남겼고 그는 처음에는 아버지를 따라 법학자가 되었습니다.

 

 

하이델베르크(Heidelber)와 베를린에서 교육을 받은 베버는 처음에는 법학을 공부한 후 농업사 및 경제학으로 전공을 전환했습니다. 1894년 프라이베르크(Freiberg) 대학교에서 가르치다가 189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정치경제학 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러나 유망한 출발에도 불구하고 1897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신경쇠약을 겪으면서 그의 학계 경력은 추락했습니다. 그는 1919년이 되어서야 정식 학계로 복귀했습니다.

 

 

베버는 평생 대중 지식인으로 활동했으며, 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자유민주당에 출마하여 (실패했지만) 정치적으로도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1920년 56세의 나이로 폐렴(스페인 독감으로 추정)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습니다.

 

 

 

 

What Was the Protestant Ethic?

개신교 윤리는 무엇이었나요?

 
1934 edition of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by Max Weber, Source: Wikimedia Commons

 

 

1905년, 신경쇠약에서 어느 정도 회복된 막스 베버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을 출간했습니다. 투병 기간 동안 베버는 미국을 방문하는 등 광범위한 여행을 했습니다. 그는 여행을 통해 여러 국가와 지역의 도시화, 관료주의, 자본주의 발전의 비교 패턴을 면밀히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테스탄트(protestant, 개신교) 윤리학에서 베버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충분히 이해되지 않은 현상, 즉 자본주의 발전에서 프로테스탄트 국가의 주도적인 역할을 설명하기 시작했고,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단순히 연관성에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자본주의의 '정신'은 "시간은 곧 돈이다"라는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의 유명한 주장으로 대표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베버(1930)는 프랭클린의 검소함의 철학과 자본의 축적을 도덕적 의무이자 그 자체로 목적이라는 프레임은 "양키의 신앙고백(Yankee confession of faith)"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그 대신 종교적 이데올로기에 뿌리를 둔 국경 패턴의 예시였습니다.

 

 

베버에 따르면 자본주의의 발전은 "자연 조건의 역전"이 아니라 특정 형태의 종교 이데올로기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의 결정적인 영향에서 비롯된 개신교 종교 개혁의 결과였습니다.

 

 

 

 

What Did Max Weber Say About the Ethics of Capitalism?

막스 베버는 자본주의의 윤리에 대해 무엇을 말했나요?

 
Protestant Reformers by an unknown artist, 1660. Source: Society of Antiquaries of London

 

 

프로테스탄트 윤리학에서 베버의 주장의 핵심은 자본주의가 경제 시스템을 넘어 세상을 바라보는 뚜렷한 사고방식이자 경제적 방식이라는 주장에 있습니다.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시장에 맞추도록 강요받는 현대 사회에서 과거에 지배적이었던 종교적 윤리(예: 십계명)는 점점 더 무의미해지고 있습니다. 성공은 경제 생활에 대한 합리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비용을 관리하고, 수익을 계산하고, 시장 기회를 파악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은 프로테스탄트 종교 이데올로기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었습니다. 그는 전체 시스템을 뒷받침하는 심리적 동력이 종교적 소명이라는 개념에서 비롯되었다고 믿었습니다. 마틴 루터(Martin Luther)의 사상에서 비롯되었지만 자본주의의 윤리는 청교도적이고 무엇보다도 칼빈주의적(Calvinist)인 성격을 뚜렷하게 띠고 있었습니다.

 

 

예정에 대한 불안과 삶에서 하나님의 일을 완수해야만 구원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결합된 결과, 세속적 성공이 하나님의 뜻을 반영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자본주의의 부상을 뒷받침하는 절제, 검소, 근면 정신을 키우게 되었습니다(Hawthorn, 2009).

 

 

 

 

Capitalism as Vocation?

소명으로서의 자본주의?

 
켐니츠(Chemnitz)의 리하르트 하르트만(Richard Hartmann)의 기계 작업. 하트만은 1868년 작센(Saxony) 왕국에서 가장 성공한 기업가이자 최대 고용주 중 한 명이었습니다.

 

프로테스탄트(protestant, 개신교) 기독교는 신을 섬긴다는 것은 신이 부여한 세속적 소명에 충실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교리는 쾌락주의와 경박함보다 규율, 근면, 투자를 중시하는 종교적 틀을 제공했습니다. 칼빈의 예정론은 개신교 윤리를 증폭시켰는데, 개인은 자신의 세속적 업적을 통해 자신이 구원을 받을 운명임을 증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베버는 자본주의의 발전과 프로테스탄트 종교성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을 독일어로 '소명' 또는 세속적 소명으로 번역되는 Beruf라는 용어를 통해 포착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신적 소명의식이 자본주의 성공의 특징인 체계적인 자기 통제, 목표 지향적 행동, 근검, 절약의 가치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했습니다(Barbalet, 2009).

 

 

자본주의가 생산 수단에 의해 주도된다는 칼 마르크스(Karl Marx)의 견해와 달리, 베버는 자본주의는 특정한 사고방식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가장 잘 이해된다고 주장합니다.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 이론을 뒤집은 것입니다. 베버는 경제적 토대가 문화와 종교적 제도를 낳았다기보다는 문화와 종교적 이데올로기가 자본주의 경제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촉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

 

 


 

 

 

 

 

훌륭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6가지 방법

.   6 Ways To Deliver a Great Customer Experience훌륭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6가지 방법     열악한 고객 경험으로 인해 소중한 고객을 잃고 어떻게 하면 고객을 유지할 수 있었을지 고민해 본 적이

kayoko.tistory.com

 

 

무한이란 무엇인가요? 철학적 접근

What Is Infinity? A Philosophical Approach무한이란 무엇인가요? 철학적 접근      무한은 철학, 과학, 윤리를 형성하며 현실과 존재, 인간 사고의 한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도전합니다.    무한이

kayoko.tistory.com

 

 

의외로 30후~40대중 사이에 첫 직업이 종료된다

말하지 않아서 그렇지.정말 많은 사람이 40대 초반에 첫 직업(직장이 아니라는 점이 중요)의 종료를 경험합니다.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30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대부분이 조직 내에서 관리자

you-again.tistory.com

 

 

 

 

#파주, #운정, #코딩, #코딩교육,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코드몬스터랩, #헬로우잡스, #안녕잡스

#일산, #온라인, #파주운정신도시, #ai, #교육, #AI직업, #코딩학원, #맞춤교육, #헬로잡스, #목동동

파주, 운정, 코딩, 코딩교육,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코드몬스터랩, 헬로우잡스, 안녕잡스

일산, 온라인, 파주운정신도시, ai, 교육, AI직업, 코딩학원, 맞춤교육, 헬로잡스

 

 

 

 

 

 

참조 : https://www.thecollector.com/what-did-max-weber-say-about-capitalism/

728x90
반응형